클래스형 컴포넌트
![[React] 클래스형 컴포넌트 vs 함수형 컴포넌트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bLqB3P%2FbtrsW99mhs3%2FAAAAAAAAAAAAAAAAAAAAAGAiAQLVanba1Hj7Phq_VG1MPKGJaiCdrvtI7KzilGUb%2Fimg.png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AS2OJYcVLxqoPYFCmNfg61zLLMw%253D)
[React] 클래스형 컴포넌트 vs 함수형 컴포넌트
리액트의 컴포넌트 선언 방식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를 선언하는 방식에는 클래스형과 함수형 두 가지가 있다. 과거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지만, 현재는 공식 문서에서 함수형 컴포넌트와 리액트 훅(hook)을 함께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. 하지만 아직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기업도 있을 수 있으니, 기본 형태와 두 가지 방식 간의 차이점은 알아둘 필요가 있다. (유지보수를 위해서도 필요함) 클래스형 컴포넌트란? import React, { Component } from "react"; // Next.js를 사용하는 경우 React는 import하지 않아도 된다. export default class ClassComponentPage extends Component { render() { re..